맨위로가기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코스타리카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1921년에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이 창설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999년에는 리그 운영을 위한 UNAFUT가 설립되었다. 2014년에는 리그 명칭이 리가 FPD로 변경되었다. 알라후엘렌세와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의 '엘 클라시코'는 리그의 주요 라이벌전으로, 두 팀은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꼽힌다. 리그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개의 토너먼트로 진행되며, 각 토너먼트 우승팀은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다. 2024-2025 시즌에는 12개 팀이 참가하며, 승강제를 통해 하위 리그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메리카의 축구 1부 리그 - 리가 파나메냐
    리가 파나메냐 데 풋볼은 1988년 ANAPROF로 창설되어 2009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된 파나마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토너먼트 우승팀은 CONCACAF 중앙아메리카컵에 진출하며, 타우로 FC와 아라베 우니도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921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전조선축구대회
    전조선축구대회는 조선체육회와 조선축구협회가 주최하여 1921년부터 1940년까지 열린 한국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 대회로, 한국 근대 축구의 시작을 알리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 1921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튀니지 리그 프로페시오넬 1
    튀니지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은 1904년 튀니지에서 시작되어 1921년 튀니지 축구 협회 리그가 창설되면서 공식 출범한 튀니지 최상위 축구 리그이며, 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기본 정보
명칭리가 프로메리카
국가코스타리카
대륙 연맹CONCACAF
창립1921년 6월 13일
참가 팀 수12
강등리가 데 아센소
리그 단계1
대륙 컵챔피언스컵
센트럴 아메리칸 컵
최근 우승팀사프리사 (40번째 우승)
최근 시즌2024 클라우수라
최다 우승팀사프리사 (40회)
공인구Legacy Irazú (Voit 사)
중계 방송사FUTV
Tigo Sports
TD+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현재 시즌2024–25 리가 FPD 시즌
관련 정보
리그 시스템코스타리카 축구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

2. 역사

1921년 6월 13일,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이 창설되었다. 연맹 창설과 함께 1921년 과테말라에서 열린 Juegos del Centenario에 코스타리카가 초청되면서 국가대표팀 창설과 함께 토너먼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5]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첫 시즌은 1921년에 알라후엘렌세, 카르타기네스, 에레디아노, 라 리베르타드, 소시에다드 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소시에다드 김나스티카 리모넨세, 라 우니온 데 트레스 리오스 등 7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라 리베르타드와 김나스티카 리모넨세가 리그 FPD의 첫 경기를 치렀고, 라 리베르타드가 라파엘 마드리갈의 단독 골로 승리했다. 에레디아노가 초대 챔피언에 등극했다.[5]

1999년, 코스타리카 축구 연맹은 프리메라 디비시온 토너먼트와 유소년 리그(알토 레디미엔토로 알려짐)의 조직 및 관리를 위한 단체인 UNAFUT(Unión de Clubes de Fútbol de la Primera División의 약자)을 설립했다.[3]

2014년 1월 9일, UNAFUT는 리그에 더 많은 정체성을 부여하기 위해 토너먼트의 이름을 리가 FPD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6]

리그의 주요 라이벌전은 알라후엘렌세와 사프리사의 '엘 클라시코'이다. 두 팀은 리그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이며, 전국적으로 압도적인 팬층을 공유하고 있다.[7] (엘 클라시코 관련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더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코스타리카 클럽은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멕시코 다음으로 많은 우승 횟수를 자랑하며, 북중미 카리브해 지역에서 강호 리그의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 리그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의 2단계 제도로, 각 단계에서는 2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대전을 치른다. 각 단계에서 4위 안에 든 클럽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1위 대 4위, 2위 대 3위로 대전을 치르고, 승자끼리 플레이오프 결승전을 치른다. 플레이오프 승자가 각 시즌의 우승팀이 되며, 각 시즌의 우승팀 2개 클럽은 차기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얻는다.

2. 1. 혼란기와 사프리사의 독주 (1961-1979)

1960년대와 1970년대는 코스타리카 축구 리그에 큰 변화와 특정 팀의 강세가 두드러진 시기였다. 이 시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리그의 주요 사건과 팀들의 경쟁 구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프리사크리스티안 볼라뇨스가 알라후엘렌세의 로날드 마타리타와 공을 다투고 있다. 알라후엘렌세와 사프리사는 리그에서 가장 큰 라이벌 관계이며, '엘 클라시코'로 알려져 있다.

주요 사건:

  • 라이벌 관계 심화: 알라후엘렌세와 사프리사 간의 '엘 클라시코' 더비는 리그를 대표하는 라이벌전으로 자리 잡았다. 두 팀은 리그에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전국적으로 엄청난 팬을 보유하고 있었다. 1949년 10월 12일 구 국립 경기장에서 첫 경기를 가진 이후, 300번 이상 맞대결을 펼쳤으며, 사프리사가 상대 전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7]


이 시기 동안 사프리사는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리그를 지배했다.

3. 경기 방식

코스타리카 클럽은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멕시코 다음으로 많은 우승 횟수를 기록하며, 북중미 카리브해 지역에서 강호 리그의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1] 리그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의 2단계 제도로 운영되며, 각 단계는 2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된다.[1] 각 단계에서 상위 4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1위 대 4위, 2위 대 3위 간의 경기를 치르고, 승자끼리 플레이오프 결승전을 치러 각 시즌의 우승팀을 가린다.[1] 각 시즌 우승팀은 차기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얻는다.[1]

3. 1. 정규 리그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한 시즌 동안 두 개의 토너먼트가 별도로 진행되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토르네오 데 아페르투라'(Torneo de Apertura|개막 토너먼트es)는 7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며, '토르네오 데 클라우수라'(Torneo de Clausura|폐막 토너먼트es)는 1월부터 5월까지 진행된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는 코스타리카의 계절에 따라 각각 '토르네오 데 인비에르노'(Torneo de Invierno|겨울 토너먼트es)와 '토르네오 데 베라노'(Torneo de Verano|여름 토너먼트es)로 알려졌으며, '인비에르노' 토너먼트는 우기에, '베라노' 토너먼트는 건기에 진행되었다.

각각의 토너먼트는 여러 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는 일반적인 두 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이다. 토너먼트 기간 동안 각 클럽은 다른 모든 클럽과 두 번씩, 한 번은 홈에서, 한 번은 원정에서 경기를 치르며 총 22번의 경기일을 갖는다. 팀은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얻는다. 팀은 총 점수로 순위가 매겨지며, 단계가 끝날 때 상위 4개 클럽이 두 번째 단계에 진출한다. 두 번째 단계는 4개 팀이 서로 두 번씩 다시 대결하는 4자 대결로 구성되며, 6번의 경기일이 추가된다. 첫 번째 단계의 최고 팀이 4자 대결에서도 우승하면 해당 클럽이 챔피언으로 결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첫 번째 단계의 우승팀과 4자 대결의 우승팀 간에 2차전 결승전이 치러져 챔피언을 결정한다.

3. 2. 플레이오프 (4강 토너먼트)

각각의 토너먼트는 여러 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는 일반적인 두 번의 라운드 로빈 방식이다. 토너먼트 기간 동안 각 클럽은 다른 모든 클럽과 두 번씩(한 번은 홈, 한 번은 원정) 경기를 치러 총 22번의 경기일을 갖는다. 팀은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얻는다. 총 점수로 순위가 매겨지며, 단계가 끝날 때 상위 4개 클럽이 두 번째 단계에 진출한다. 두 번째 단계는 4개 팀이 서로 두 번씩 대결하는 4자 대결로 구성되며, 6번의 경기일이 추가된다. 첫 번째 단계의 최고 팀이 4자 대결에서도 우승하면 해당 클럽이 챔피언으로 결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첫 번째 단계의 우승팀과 4자 대결의 우승팀 간에 2차전 결승전이 치러져 챔피언을 결정한다.

3. 3. 승강제

승강제 시스템이 세군다 디비시온과 ''프리메라 디비시온'' 사이에 존재한다. 정규 시즌 동안 두 팀의 챔피언이 배출됨에도 불구하고, 리그 FPD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두 토너먼트의 전체 성적을 기준으로 한 시즌에 한 팀만 강등시킨다. 전체 순위표에서 최하위 팀은 리가 데 아센소로 강등된다.

3. 4.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진출

리가 FPD의 상위 팀들은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다. 2017-18 시즌부터 CONCACAF 챔피언스 리그는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 단계는 CONCACAF 리그로, 중앙 아메리카와 카리브해의 16개 팀이 참가하며, 우승팀은 두 번째 단계인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여 다른 15개 팀과 합류한다. 리가 FPD의 진출 자격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만약 한 팀이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토너먼트 모두에서 우승할 경우:
  • 더블 챔피언은 챔피언스 리그 두 번째 단계에 직행한다.
  • 시즌 종료 시점에 챔피언이 아닌 두 팀 중 종합 성적이 가장 좋은 두 팀이 CONCACAF 리그에 진출한다.
  • 만약 두 팀이 시즌 챔피언에 등극할 경우:
  • 종합 성적이 가장 좋은 챔피언은 챔피언스 리그 두 번째 단계에 직행한다.
  • 종합 성적이 가장 좋지 않은 챔피언은 CONCACAF 리그에 진출한다.
  • 챔피언이 아닌 팀 중 종합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은 CONCACAF 리그에 진출한다.


코스타리카 클럽은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멕시코 다음으로 많은 우승 횟수를 자랑하며, 북중미 카리브해 지역에서 강호 리그의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 각 시즌의 우승팀 2개 클럽은 차기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얻는다.

4. 2024-2025 시즌 클럽팀

2024-2025 시즌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는 12개 팀이 참가한다.

위치경기장수용 인원
알라후엘렌세알라후엘라, 알라후엘라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18000
카르타히네스카르타고, 카르타고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10000
과나카스테카니코야, 과나카스테초로테가 경기장3000
에레디아노에레디아, 에레디아엘라디오 로사발 코르데로8000
무니시팔 리베리아리베리아, 과나카스테에드가르도 발토다노7000
푼타레나스푼타레나스, 푼타레나스리토 페레스4105
페레스 셀레돈산 이시드로 데 엘 제네랄, 산호세무니시팔 경기장6000
산 카를로스케사다, 알라후엘라카를로스 우갈데 알바레스5600
산타 아나산타 아나, 산호세피에다데스 데 산타 아나2000
산토스 데 과필레스과필레스, 리몬에발 로드리게스3000
사프리사산 후안 데 티바스, 산호세리카르도 사프리사23000
스포팅 FC파바스, 산호세에르네스토 로르모서3000


4. 1.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참가 클럽 (2024-2025)

wikitext

2024-2025 시즌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는 12개 팀이 참가한다.

}

| 1919

|-

| 카르타히네스

| 카르타고, 카르타고

| 호세 라파엘 "펠로" 메사

|

| 1906

|-

| 과나카스테카

| 니코야, 과나카스테

| 초로테가 경기장

|

| 1973

|-

| 에레디아노

| 에레디아, 에레디아

| 엘라디오 로사발 코르데로

|

| 1921

|-

| 무니시팔 리베리아

| 리베리아, 과나카스테

| 에드가르도 발토다노

|

| 1977

|-

| 푼타레나스

| 푼타레나스, 푼타레나스

| 리토 페레스

|

| 2004

|-

| 페레스 셀레돈

| 산 이시드로 데 엘 제네랄, 산호세

| 무니시팔 경기장

|

| 1991

|-

| 산 카를로스

| 케사다, 알라후엘라

| 카를로스 우갈데 알바레스

|

| 1965

|-

| 산타 아나

| 산타 아나, 산호세

| 피에다데스 데 산타 아나

|

| 1993

|-

| 산토스 데 과필레스

| 과필레스, 리몬

| 에발 로드리게스

|

| 1961

|-

| 사프리사

| 산 후안 데 티바스, 산호세

| 리카르도 사프리사

|

| 1935

|-

| 스포팅 FC

| 파바스, 산호세

| 에르네스토 로르모서

|

| 2016

|}

5. 역대 우승팀 및 기록

코스타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역대 우승팀 및 기록은 다음과 같다.

위치경기장수용 인원설립
알라후엘렌세알라후엘라, 알라후엘라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cvt|}
클럽우승준우승
사프리사3818
알라후엘렌세3025
에레디아노2923
라 리베르타드67
카르타기네스410
오리온26
무니시팔 푼타레나스13
산 카를로스12
페레스 세레돈11
우루과이 데 코로나도11
브루하스10
카르멜리타10
리베리아 미아10
코스타리카 대학교10



사프리사가 38회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알라후엘렌세(30회), 에레디아노(29회)가 그 뒤를 잇고 있다.

5. 1. 역대 우승팀

회차시즌우승준우승
11921에레디아노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21922에레디아노라 리베르타드
31923카르타기네스라 리베르타드
41924에레디아노카르타기네스
51925라 리베르타드에레디아노
61926라 리베르타드카르타기네스
71927에레디아노라 리베르타드
81928알라후엘렌세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91929라 리베르타드알라후엘렌세
101930에레디아노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111931에레디아노오리온
121932에레디아노오리온
131933에레디아노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141934라 리베르타드알라후엘라 주니어
151935에레디아노알라후엘라 주니어
161936카르타기네스라 리베르타드
171937에레디아노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181938오리온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191939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201940카르타기네스오리온
211941알라후엘렌세라 리베르타드
221942라 리베르타드김나스티카 에스파뇰라
231943코스타리카 대학교알라후엘렌세
241944오리온에레디아노
251945알라후엘렌세오리온
261946라 리베르타드에레디아노
271947에레디아노라 리베르타드
281948에레디아노알라후엘렌세
291949알라후엘렌세오리온
301950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311951에레디아노오리온
321952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331953사프리사에레디아노
341954대회 없음.
351955에레디아노사프리사
361956대회 없음.
371957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381958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391959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401960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411961 Asofútbol에레디아노사프리사
421961 Fedefútbol카르멜리타우루과이 데 코로나도
431962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441963우루과이 데 코로나도사프리사
451964사프리사오리온
461965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471966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481967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491968사프리사카르타기네스
501969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511970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521971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531972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541973사프리사카르타기네스
551974사프리사에레디아노
561975사프리사카르타기네스
571976사프리사데포르티보 멕시코
581977사프리사카르타기네스
591978에레디아노문시팔 푸엔타레나스
601979에레디아노카르타기네스
611980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621981에레디아노리모넨세
631982사프리사문시팔 푸엔타레나스
641983알라후엘렌세문시팔 푸엔타레나스
651984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661985에레디아노알라후엘렌세
671986문시팔 푸엔타레나스알라후엘렌세
681987에레디아노카르타기네스
691988사프리사에레디아노
701989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711990대회 없음.
721990–91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731991–92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741992–93에레디아노카르타기네스
751993–94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761994–95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771995–96알라후엘렌세카르타기네스
781996–97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791997–98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801998–99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811999–00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822000–01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832001–02알라후엘렌세산토스 데 과피레스
842002–03알라후엘렌세사프리사
852003–04사프리사에레디아노
862004–05알라후엘렌세페레스 세레돈
872005–06사프리사푼타레나스 FC
882006–07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892007 인비에르노사프리사에레디아노
902008 베라노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912008 인비에르노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922009 베라노리베리아 미아에레디아노
932009 인비에르노부르하스푼타레나스 FC
942010 베라노사프리사산 카를로스
952010 인비에르노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962011 베라노알라후엘렌세산 카를로스
972011 인비에르노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982012 베라노에레디아노산토스 데 과피레스
992012 인비에르노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1002013 베라노에레디아노카르타기네스
1012013 인비에르노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1022014 베라노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1032014 인비에르노사프리사에레디아노
1042015 베라노에레디아노알라후엘렌세
1052015 인비에르노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1062016 베라노에레디아노알라후엘렌세
1072016 인비에르노사프리사에레디아노
1082017 베라노에레디아노사프리사
1092017 아페르투라페레스 세레돈에레디아노
1102018 클라우수라사프리사에레디아노
1112018 아페르투라에레디아노사프리사
1122019 클라우수라산 카를로스사프리사
1132019 아페르투라에레디아노알라후엘렌세
1142020 클라우수라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1152020 아페르투라알라후엘렌세에레디아노
1162021 클라우수라사프리사에레디아노
1172021 아페르투라에레디아노사프리사
1182022 클라우수라카르타기네스알라후엘렌세
1192022 아페르투라사프리사에레디아노
1202023 클라우수라사프리사알라후엘렌세


5. 2.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
사프리사38181952, 1953, 1957, 1962, 1964, 1965, 1967, 1968, 1969,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82, 1988, 1989, 1993–94, 1994–95, 1997–98, 1998–99, 2003–04, 2005–06, 2006–07, 2007 인비에르노, 2008 베라노, 2008 인비에르노, 2010 베라노, 2014 베라노, 2014 인비에르노, 2015 인비에르노, 2016 인비에르노, 2018 클라우수라, 2020 클라우수라, 2021 클라우수라, 2022 아페르투라, 2023 클라우수라, 2023 아페르투라, 2024 클라우수라
알라후엘렌세30251928, 1939, 1941, 1945, 1949, 1950, 1958, 1959, 1960, 1966, 1970, 1971, 1980, 1983, 1984, 1990–91, 1991–92, 1995–96, 1996–97,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4–05, 2010 인비에르노, 2011 베라노, 2011 인비에르노, 2012 인비에르노, 2013 인비에르노, 2020 아페르투라
에레디아노29231921, 1922, 1924, 1927, 1930, 1931, 1932, 1933, 1935, 1937, 1947, 1948, 1951, 1955, 1961 아소푸트볼, 1978, 1979, 1981, 1985, 1987, 1992–93, 2012 베라노, 2013 베라노, 2015 베라노, 2016 베라노, 2017 베라노, 2018 아페르투라, 2019 아페르투라, 2021 아페르투라
라 리베르타드671925, 1926, 1929, 1934, 1942, 1946
카르타기네스4101923, 1936, 1940, 2022 클라우수라
오리온261938, 1944
무니시팔 푼타레나스131986
산 카를로스122019 클라우수라
페레스 세레돈112017 아페르투라
우루과이 데 코로나도111963
브루하스102009 인비에르노
카르멜리타101961 페데푸트볼
리베리아 미아102009 베라노
코스타리카 대학교101943


참조

[1] 웹사이트 Legacy Irazú es el balón oficial presentado por Voit para la Liga FPD http://www.unafut.co[...] 2017-05-18
[2] 웹사이트 Liga Promerica será el nuevo concepto del fútbol de la primera división http://unafut.com/in[...] 2019-07-14
[3] 웹사이트 ¿Quiénes Somos? http://www.unafut.co[...] 2017-05-18
[4] 웹사이트 Primera División http://www.unafut.co[...] 2017-05-18
[5] 웹사이트 1921 http://www.unafut.co[...] UNAFUT 2017-05-25
[6] 뉴스 Fission es el balón que se usará en el torneo de Verano 2014 http://www.nacion.co[...] 2014-01-10
[7] 웹사이트 Una rivalidad que divide a los ticos http://es.fifa.com/n[...] FIFA 2014-02-21
[8] 웹사이트 Calendario Torneo Apertura 2023 https://www.unafut.c[...] UNAFUT, Genius Sports Group 2024-01-09
[9] 웹사이트 Primera División http://www.unafut.co[...] UNAFUT 2017-05-25
[10] 웹사이트 Club de los 100 http://www.unafut.co[...] UNAFUT 2017-05-25
[11] 웹사이트 Jugadores con más partidos de campeonato nacional http://www.unafut.co[...] UNAFUT 2017-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